노란봉투법에 대한 성급한 비판, 과연 언론이 맞나?

"벌써부터 단체행동··· 노란봉투법에 멍드는 기업들"
이 기사의 제목은 8월 29일, 매일 아침 지하철 입구에서 무료로 제공되는 metro의 헤드라인 기사다. 노란봉투법이 국회 통과된 지 이제 겨우 며칠인데, 벌써부터 단체행동이 나타났다는 자극적인 기사다.

그런데 이 기사가 metro 인터넷 홈페이지 기사 검색에서는 같은 제목이 나타나지 않고, 하루 전 28일자 기사로 "우려가 현실로, 허점 많은 노란봉투법 후폭풍 현실화…정부, 불법 적발시 엄벌"이라는 제목으로 비슷한 내용이 실렸다.

하지만 이 법이 시행되려면 아직 6개월이 남았다. 언론사가 이 내용을 모를 수 없다.
문제는 바쁜 아침 시간 사람들의 시선을 끄는 크고 굵은 활자 표기 "벌써부터 단체행동··· 노란봉투법에 멍드는 기업들"이다. 이렇게 헤드라인 기사인데, 불법 파업 사진도 없다. 단지 제목을 크게 뽑아 눈에 잘 보이도록 배치한 것이다.

노란봉투법 악화를 위환 여론 조성

의도가 건전하지 못하다는 인상을 지울 수 없다.
아무리 봐도 노란봉투법에 부정적인 여론을 조성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그리고 이런 행동은 언론의 역할이 아니다.
엄격하게는 폐간이 거론될 정도의 위험한 여론 선동 행위다.

언론은 사회의 공기다. 공기는 맑아야 하고, 왜곡되어서는 안 된다. 노란봉투법은 노동자의 권리를 보호하고, 부당한 손해배상 청구로부터 방어할 수 있도록 만든 법이다. 그 취지와 내용에 대해 충분한 논의와 검토가 필요한 시점에, 시행도 되지 않은 법을 두고 자극적인 제목과 근거 부족한 보도로 여론을 선도하려는 시도는 언론의 본분을 저버리는 행위다.

언론이 권력의 감시자이자 시민의 대변자 역할을 하려면, 사실에 기반한 보도와 균형 잡힌 시각이 필수다. 특정 법안에 대한 편향된 시각을 조장하는 것은 민주주의의 건강한 토대를 흔드는 일이며, 이는 언론 스스로의 신뢰를 무너뜨리는 자해적 행위다.

언론의 역할이 노동자의 권리 제한에 앞장서는 것이라는 사실이 이렇게 자연스러울 수 있다는 게 놀라울 뿐이다. 일반적인 사고에서는 불가능한 내용인 때문이다.

지금 필요한 것은 성급한 비판이 아니라, 차분한 분석과 공정한 토론이다. 언론이 다시금 본연의 역할을 되찾기를, 그리고 독자들이 그 의도를 꿰뚫어보는 눈을 갖기를 바란다. 노란봉투법을 둘러싼 논의는 이제 막 시작되었고, 그 시작은 진실 위에서 이루어져야 한다.